명확한 단계를 요구하는 입력폼 입력폼은 사용자의 정보를 요구하는 화면이므로 사용자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특히 결재에 관한 입력폼은 금전적인 위험요소도 고려되어 사용자는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확인을 매우 필요해 한다. 해외의 사례를 보면 성질이 같은 덩어리로 단계를 나누고 그 단계마다 화면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지금 어느 위치에서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를 각 화면마다 정확하게 인지시키는 것을 선호한다는 결론을 도출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여러 테스트와 전문가의 분석 결과 조금 다른 사용자의 행태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단계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보이되 화면의 길이가 조금 길더라도 한 화면에 보여지는 입력폼의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물론 너무 긴 화면은 지루할 수도 있고 사용자..
링크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 사용자에게 자신감을 부추기고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의 향기를 전달하는 방법의 반은 링크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자신감은 링크 타입, 커뮤니케이트된 정보의 양, 링크가 생긴 모양에 의해 부추겨지는 수가 많다. 링크의 분류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컨텐츠 링크 : 컨텐츠를 포함하는 페이지로 간다. - 카테고리 링크 : 다른 링크의 우선적으로 포함하는 페이지로 간다. - 키워드 링크 : 검색의 부분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다. - 백 혹은 홈 링크 : 홈이나 먼저 방문한 페이지로 간다. 위의 분류 중에서 컨텐츠 링크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용자들은 카테고리 링크가 아니라 컨텐츠 링크를 사용할 때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국내의 사이트는 카테고리 링크가 더 많..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사용성을 높이는 방법 사용성테스트를 할 여건이 안 될 경우 좀더 적은 노력으로 혁신적인 사용성 개선을 원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 보라. 우선 로그데이타나 기타조사를 통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 또는 작업의 목록을 작성하라. 이 목록 중 최상위의 한두개를 골라 최대한 클릭 수를 줄이고 단순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 본다. 하나의 태스크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그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예상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손을 마우스에 가져가고, 마우스를 움직이고, 누르고, 메뉴바의 이름을 기억해 내고, 각각에 드는 시간을 기준으로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총시간을 계산한다. 이때에는 육체적인 액션과 정신적인 액션에 드는 시간을 모두 계산한다. 이러한 방법 GOMS..
- Total
- Today
- Yesterday
- UI
- 터치폰
- DESIGN
- ColorCop
- AS
- flash
- bloger
- 플래시
- 밍밍이
- graph
- UI디자인
- PhoneUI
- Observer
- 디자인분류
- 디자인패턴
- 제퍼슨 한
- 사진
- BitmapData
- Iterator
- 가이드라인
- Blog
- 디자인 체계도
- TemplateMethod
- 구글
- Design Patterns
- Decorator
- Information Ring
- StrategyPattern
- ActionScript
- 액션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